이동환 고양시장,‘실리콘 작센’중심 獨 드레스덴서 반도체·바이오 글로벌 협력 강화
리포타입·폰 아르덴네 연구소·NXP 반도체 등 방문… 투자·기술 협력 등 시너지 기대
입력 : 2025. 09. 09(화) 13:47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좌), 올리버 우에케(Oliver Uecke) 리포타입 최고운영책임자(우)
[시사토픽뉴스]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이 유럽 첨단산업 클러스터 ‘실리콘 작센(Silicon Saxony)’의 핵심 도시인 독일 드레스덴에 도착해 반도체, 바이오 등 미래 산업 분야의 글로벌 기업 및 연구기관들과 심도 있는 투자·협력 논의를 진행했다.
이 시장은 8일(현지시간) 드레스덴에서 글로벌 기업 및 관계 기관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고양경제자유구역과 일산테크노밸리 조성에 발맞춰 미래 첨단산업 분야의 투자유치 기반을 강화했다.
먼저 이 시장은 먼저 리피도믹스(Lipidomics, 세포 지질 대사체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앞선 바이오 연구기업 ‘리포타입(Lipotype GmbH)’을 방문해 기술 상용화와 정밀의료 솔루션 투자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 시장은 “리포타입은 특히 의약품 개발과 맞춤형 치료 연구에서 지질 분석 기술을 활용하고 있어 고양시가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바이오·헬스케어 산업과 접점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며 “리포타입과 같은 첨단 바이오 분석 기업과 함께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올리버 우에케(Oliver Uecke) 최고운영책임자는 “한국을 미국에 이어 중요한 시장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국립암센터 등 7개 종합병원 인프라를 공유,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해 상호 발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답했다.
이어서 드레스덴 시청을 방문한 이 시장은 디르크 힐베르트(Dirk Hilbert) 시장과 관계자들을 만나 실리콘 작센 추진 사례와 글로벌 기업 유치 전략, 외국인 투자 활성화 정책, 시·기업·대학·연구기관 간 협력 모델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양 도시 간 협력 가능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디르크 힐베르트 시장은 “이번 이동환 시장님 방문으로 고양시는 꼭 가보고 싶은 도시가 됐다”며 “바이오 및 모빌리티 산업에 협력 기회가 있길 바라고, 내년 꽃박람회에 초대해 주시면 참가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이에 이 시장은 “산업과 문화가 조화롭게 발전해 온 드레스덴과 고양시는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며 “양 도시가 서로의 강점을 살려 지속 가능한 성장과 혁신적인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길 희망한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찾은 고주파 온열치료기 등 첨단 의료기기를 연구하고 제조하는 ‘폰 아르덴네 응용의학연구소’에서는 바이오·정밀의료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투자유치 가능성을 검토하고, 유럽 연구기관이 고양경제자유구역과 일산테크노밸리를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이 시장은 “폰 아르덴네 연구소는 혁신적인 연구와 의료기술로 글로벌 바이오·의료산업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다”며 “고양시와 교류 등 네트워크를 확장한다면 양측의 글로벌 경쟁력은 한층 더 높아질 거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에 안드레이 볼프(Andrej Wolf) 최고경영자는 “고양시에서 직접 기업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깊다”며 “연구소 설치 등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인프라가 탄탄한 고양시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스마트 모빌리티, 사이버 보안, 고해상도 레이더 센서 등 미래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NXP 반도체 독일법인 방문에서 미하엘 필립(Michael Philipp) 수석 엔지니어는 “NXP 반도체는 한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고양시가 경제자유구역이 된다면 함께 참여하고 싶다”며 “서로가 함께 기술혁신과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이 시장도 “고양시는 자율주행 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선정될 정도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으며 이는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 육성과 실증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NXP 반도체의 혁신 기술과 연계해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열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마지막 일정으로 주한 명예영사 크리스토프 홀렌더스(Christoph Hollenders)를 만난 이 시장은 드레스덴의 첨단산업 육성 전략과 기업 유치 성공 요인, 한·독 교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고양경제자유구역 투자 촉진 전략에 대한 자문을 구하고, 한·독 간 산학연 협력 모델에 대해 논의했다.
이 시장은 “드레스덴은 반도체와 바이오 분야에서 세계적인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한 도시”라며 “이번 방문을 계기로 고양시는 글로벌 기업과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고양경제자유구역을 동북아 전략적 비즈니스 거점으로 육성하는 교두보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고양시는 자족도시 실현을 목표로 일산테크노밸리에 바이오·메디컬, 미디어·콘텐츠, 첨단기술 기업을 유치하고 있으며 고양경제자유구역 추진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과 양질의 고용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기업과 국내 복귀 기업에 대해서는 ▲5년간 관세 100% 면제 ▲15년간 취득세 및 재산세 100% 면제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최준규 기자
이 시장은 8일(현지시간) 드레스덴에서 글로벌 기업 및 관계 기관들과 협력을 확대하고, 고양경제자유구역과 일산테크노밸리 조성에 발맞춰 미래 첨단산업 분야의 투자유치 기반을 강화했다.
먼저 이 시장은 먼저 리피도믹스(Lipidomics, 세포 지질 대사체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앞선 바이오 연구기업 ‘리포타입(Lipotype GmbH)’을 방문해 기술 상용화와 정밀의료 솔루션 투자 가능성을 논의했다.
이 시장은 “리포타입은 특히 의약품 개발과 맞춤형 치료 연구에서 지질 분석 기술을 활용하고 있어 고양시가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바이오·헬스케어 산업과 접점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며 “리포타입과 같은 첨단 바이오 분석 기업과 함께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올리버 우에케(Oliver Uecke) 최고운영책임자는 “한국을 미국에 이어 중요한 시장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국립암센터 등 7개 종합병원 인프라를 공유, 상호 협력 체계를 구축해 상호 발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답했다.
이어서 드레스덴 시청을 방문한 이 시장은 디르크 힐베르트(Dirk Hilbert) 시장과 관계자들을 만나 실리콘 작센 추진 사례와 글로벌 기업 유치 전략, 외국인 투자 활성화 정책, 시·기업·대학·연구기관 간 협력 모델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양 도시 간 협력 가능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디르크 힐베르트 시장은 “이번 이동환 시장님 방문으로 고양시는 꼭 가보고 싶은 도시가 됐다”며 “바이오 및 모빌리티 산업에 협력 기회가 있길 바라고, 내년 꽃박람회에 초대해 주시면 참가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이에 이 시장은 “산업과 문화가 조화롭게 발전해 온 드레스덴과 고양시는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며 “양 도시가 서로의 강점을 살려 지속 가능한 성장과 혁신적인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길 희망한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찾은 고주파 온열치료기 등 첨단 의료기기를 연구하고 제조하는 ‘폰 아르덴네 응용의학연구소’에서는 바이오·정밀의료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투자유치 가능성을 검토하고, 유럽 연구기관이 고양경제자유구역과 일산테크노밸리를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이 시장은 “폰 아르덴네 연구소는 혁신적인 연구와 의료기술로 글로벌 바이오·의료산업의 미래를 선도하고 있다”며 “고양시와 교류 등 네트워크를 확장한다면 양측의 글로벌 경쟁력은 한층 더 높아질 거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에 안드레이 볼프(Andrej Wolf) 최고경영자는 “고양시에서 직접 기업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매우 인상깊다”며 “연구소 설치 등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인프라가 탄탄한 고양시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스마트 모빌리티, 사이버 보안, 고해상도 레이더 센서 등 미래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NXP 반도체 독일법인 방문에서 미하엘 필립(Michael Philipp) 수석 엔지니어는 “NXP 반도체는 한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고양시가 경제자유구역이 된다면 함께 참여하고 싶다”며 “서로가 함께 기술혁신과 산업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이 시장도 “고양시는 자율주행 자동차 시범운행지구로 선정될 정도로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으며 이는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 육성과 실증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라며 “NXP 반도체의 혁신 기술과 연계해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열어 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마지막 일정으로 주한 명예영사 크리스토프 홀렌더스(Christoph Hollenders)를 만난 이 시장은 드레스덴의 첨단산업 육성 전략과 기업 유치 성공 요인, 한·독 교류 경험을 바탕으로 한 고양경제자유구역 투자 촉진 전략에 대한 자문을 구하고, 한·독 간 산학연 협력 모델에 대해 논의했다.
이 시장은 “드레스덴은 반도체와 바이오 분야에서 세계적인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한 도시”라며 “이번 방문을 계기로 고양시는 글로벌 기업과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고양경제자유구역을 동북아 전략적 비즈니스 거점으로 육성하는 교두보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고양시는 자족도시 실현을 목표로 일산테크노밸리에 바이오·메디컬, 미디어·콘텐츠, 첨단기술 기업을 유치하고 있으며 고양경제자유구역 추진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과 양질의 고용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기업과 국내 복귀 기업에 대해서는 ▲5년간 관세 100% 면제 ▲15년간 취득세 및 재산세 100% 면제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