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구, 의료·요양 통합돌봄이 ‘마음 회복’까지 확장되다
대한적십자사와 정서․심리지원 강화… 장애인․어르신 대상 맞춤형 심리 프로그램 운영
입력 : 2025. 11. 27(목) 15:44

중리돌봄건강학교에서 열린 심리교육 및 크리스마스 테라리움 체험에 참여한 어르신들이 손가락 하트를 만들며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시사토픽뉴스]대전 대덕구가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주민을 위해 추진 중인 다양한 마음회복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대덕구는 지난 8월 대한적십자사 대전세종지사와 ‘마음회복 지원 동행 협약’을 체결한 이후, 돌봄이 필요한 주민에게 정서안정과 일상회복을 돕는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운영하며 통합돌봄의 범위를 한층 확대해 왔다.
올해 하반기 대덕구는 천성보호작업장에서 활동하는 발달장애인 근로자 57명을 대상으로 ‘마음 단단 프로젝트’를 운영했다.
‘마음 단단 프로젝트’는 음악치료와 심리교육을 결합한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으로, 재난 이후 심리적 안정과 불안 완화, 대인관계 기술 향상 등을 목표로 진행됐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맞춘 전문 상담활동가의 개입을 통해 감정표현 능력 회복, 공동체성 경험 확대, 직무 안정감 회복 등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대덕구는 지난 7월 20일부터 장애인 통합돌봄을 본격 시행해 지체·뇌병변 등 심한 장애가 있는 주민 5명에게 재활·일상 돌봄과 병행한 정기 심리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심리적 악화와 돌봄 공백을 예방하는 기초 안전망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통합돌봄이 신체·정서·사회적 회복을 동시에 지원하는 체계임을 보여주는 모범 사례로 자리 잡고 있다.
‘찾아가는 돌봄건강학교’에서도 다양한 맞춤형 정서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중리돌봄건강학교에서는 어르신을 대상으로 심리교육과 크리스마스 테라리움 체험을 운영해 감정 안정과 자기회복감 증진에 도움을 줬다.
전몰군경미망인회와 함께 진행한 반려식물 심기 활동은 어르신들의 일상 속 안정감과 정서적 지지 기반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들 프로그램은 참여 만족도가 높고, 체감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 대덕구의 지역 기반 돌봄체계 정책의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대덕구는 앞으로도 통합돌봄의 핵심을 예방에 두고 돌봄 사각지대에 놓일 가능성이 있는 주민을 직접 찾아가 초기 위험 요인을 낮추는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동시에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민에게는 필요한 심리·정서 돌봄을 신속히 연계해 예방과 회복을 아우르는 대덕구형 통합돌봄 모델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누구든 삶의 어느 시점에서 마음이 어려울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며 “위험이 커지기 전에 먼저 다가가고, 이미 어려움을 겪는 주민에게는 따뜻하게 손을 잡아주는 사람 중심 돌봄도시 대덕구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준규 기자
대덕구는 지난 8월 대한적십자사 대전세종지사와 ‘마음회복 지원 동행 협약’을 체결한 이후, 돌봄이 필요한 주민에게 정서안정과 일상회복을 돕는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운영하며 통합돌봄의 범위를 한층 확대해 왔다.
올해 하반기 대덕구는 천성보호작업장에서 활동하는 발달장애인 근로자 57명을 대상으로 ‘마음 단단 프로젝트’를 운영했다.
‘마음 단단 프로젝트’는 음악치료와 심리교육을 결합한 심리․정서지원 프로그램으로, 재난 이후 심리적 안정과 불안 완화, 대인관계 기술 향상 등을 목표로 진행됐다.
특히,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맞춘 전문 상담활동가의 개입을 통해 감정표현 능력 회복, 공동체성 경험 확대, 직무 안정감 회복 등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대덕구는 지난 7월 20일부터 장애인 통합돌봄을 본격 시행해 지체·뇌병변 등 심한 장애가 있는 주민 5명에게 재활·일상 돌봄과 병행한 정기 심리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심리적 악화와 돌봄 공백을 예방하는 기초 안전망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통합돌봄이 신체·정서·사회적 회복을 동시에 지원하는 체계임을 보여주는 모범 사례로 자리 잡고 있다.
‘찾아가는 돌봄건강학교’에서도 다양한 맞춤형 정서지원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중리돌봄건강학교에서는 어르신을 대상으로 심리교육과 크리스마스 테라리움 체험을 운영해 감정 안정과 자기회복감 증진에 도움을 줬다.
전몰군경미망인회와 함께 진행한 반려식물 심기 활동은 어르신들의 일상 속 안정감과 정서적 지지 기반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들 프로그램은 참여 만족도가 높고, 체감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 대덕구의 지역 기반 돌봄체계 정책의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대덕구는 앞으로도 통합돌봄의 핵심을 예방에 두고 돌봄 사각지대에 놓일 가능성이 있는 주민을 직접 찾아가 초기 위험 요인을 낮추는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동시에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민에게는 필요한 심리·정서 돌봄을 신속히 연계해 예방과 회복을 아우르는 대덕구형 통합돌봄 모델을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누구든 삶의 어느 시점에서 마음이 어려울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며 “위험이 커지기 전에 먼저 다가가고, 이미 어려움을 겪는 주민에게는 따뜻하게 손을 잡아주는 사람 중심 돌봄도시 대덕구를 만들기 위해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