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연락 닿지 않는 자립준비청년 일제 확인조사 실시… 사회적 고립 최소화
9~10월 2개월간 조사… 자립준비청년 중 연락두절자의 실태를 조기에 파악해 위기 상황 예방, 지원 확대, 사회적 고립 최소화
입력 : 2025. 09. 01(월) 07:14

연제우체국(국장 정옥균)과 시 자립지원전담기관(관장 심주영)
[시사토픽뉴스]부산시오늘(1일)부터 10월 31일까지 2개월간 사각지대 및 위기상황에 놓인 자립준비청년을 발굴하기 위한 일제 확인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시는 자립준비청년 중 연락두절자 43명의 실태를 조기에 파악해 위기 상황을 예방하고, 지원을 확대, 사회적 고립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시 자립지원전담기관이 지난 7월 실시한 자립준비청년 현황 조사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부산의 자립준비청년은 총 653명이다.
이 중 거주가 불분명하거나 기관의 연락에 응답하지 않은 연락두절자가 43명(약 7%)으로 확인됐다.
먼저, 시는 복지등기 우편서비스를 활용해 연락이 닿지 않는 자립준비청년에게 사후관리 안내문을 발송하고, 이에 응답한 자립준비청년에게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복지등기 우편서비스는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발굴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와 지자체가 협업하는 사업이다.
시는 이 사업을 위해 시 자립지원전담기관과 연제우체국의 협약을 추진했으며, 지난 8월 28일 협약식이 열렸다.
시가 위기가구 대상으로 우편배송을 요청하면, 집배원이 우편물을 배달하며 주변 환경을 파악 후 점검표(체크리스트)를 회신한다.
시는 회신받은 정보를 활용해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안내문에 응답하지 않는 대상자에 대해서는 구·군과 자립지원전담기관이 협력해 합동 가정방문을 실시하고, 실거주 여부 확인과 위기·고립·은둔 여부 등을 확인한다.
아울러, 사후관리 점검(모니터링)을 통해 발굴된 위기 자립준비청년은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해 대상자의 욕구에 맞는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1인 연 480만 원 한도로 ▲주거 ▲의료 ▲심리상담 ▲생활 ▲교육훈련 ▲방역풀품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필요한 경우 우울증 선별검사를 실시해 심리상태를 점검하고 전문기관과 연계한 집중 지원을 할 예정이다.
시는 확인조사를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매년 2회 정기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연 2회의 자립준비청년 현황 조사에 따라 확인된 연락두절 대상자에 대한 일제 확인조사를 정례화해, 복지사각지대와 고립·은둔 대상자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박설연 시 여성가족국장은 “보호종료 후 갑자기 사회에 나오게 된 자립준비청년들은 사회안전망 사각지대에 놓여 다양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라며, “우리시는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자립준비청년들의 사회적 고립과 위기 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고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이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최준규 기자
시는 자립준비청년 중 연락두절자 43명의 실태를 조기에 파악해 위기 상황을 예방하고, 지원을 확대, 사회적 고립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시 자립지원전담기관이 지난 7월 실시한 자립준비청년 현황 조사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부산의 자립준비청년은 총 653명이다.
이 중 거주가 불분명하거나 기관의 연락에 응답하지 않은 연락두절자가 43명(약 7%)으로 확인됐다.
먼저, 시는 복지등기 우편서비스를 활용해 연락이 닿지 않는 자립준비청년에게 사후관리 안내문을 발송하고, 이에 응답한 자립준비청년에게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복지등기 우편서비스는 복지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발굴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와 지자체가 협업하는 사업이다.
시는 이 사업을 위해 시 자립지원전담기관과 연제우체국의 협약을 추진했으며, 지난 8월 28일 협약식이 열렸다.
시가 위기가구 대상으로 우편배송을 요청하면, 집배원이 우편물을 배달하며 주변 환경을 파악 후 점검표(체크리스트)를 회신한다.
시는 회신받은 정보를 활용해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안내문에 응답하지 않는 대상자에 대해서는 구·군과 자립지원전담기관이 협력해 합동 가정방문을 실시하고, 실거주 여부 확인과 위기·고립·은둔 여부 등을 확인한다.
아울러, 사후관리 점검(모니터링)을 통해 발굴된 위기 자립준비청년은 자립지원통합서비스 대상자로 선정해 대상자의 욕구에 맞는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1인 연 480만 원 한도로 ▲주거 ▲의료 ▲심리상담 ▲생활 ▲교육훈련 ▲방역풀품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필요한 경우 우울증 선별검사를 실시해 심리상태를 점검하고 전문기관과 연계한 집중 지원을 할 예정이다.
시는 확인조사를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매년 2회 정기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연 2회의 자립준비청년 현황 조사에 따라 확인된 연락두절 대상자에 대한 일제 확인조사를 정례화해, 복지사각지대와 고립·은둔 대상자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박설연 시 여성가족국장은 “보호종료 후 갑자기 사회에 나오게 된 자립준비청년들은 사회안전망 사각지대에 놓여 다양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라며, “우리시는 관계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자립준비청년들의 사회적 고립과 위기 상황을 조기에 발견하고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이들이 안정적으로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